부동산가치분석2 부산 남구 용호동 LG메트로시티 입지분석-이기대를 품은 대단지, 세월을 입은 자산의 기준 1. ‘메트로시티’라는 이름이 남긴 시간의 두께 부산 남구 용호동 해안가를 따라 이어진 1만 세대급 매머드 단지, 용호동 엘지 메트로시티는 2000년대 초반 부산 부동산의 "신도시적 상징'이었다. 총 1~6차로 이뤄진 이 단지는 당시로서는 드물게 '도시 안의 도시' 개념을 구현했다. 생활 인프라, 초·중학교, 상업시설이 자급자족형으로 구성 돼 '생활권 완결형 아파트'의 초기 모델로 서울에서도 들어본 사람이 많을 정도로 전국적인 유명세를 탔다. 그로부터 시간은 흘러 어언 20여 년, 이제 이 단지는 "노후"와 "잠재력"이라는 상반된 단어가 교차하는 공간이 됐다. 건축 연한은 2001~2004년, 20년을 훌쩍 넘겼지만, 입지의 내구성은 여전히 강력하다. 바로 이기대와 오륙도를 품은 바다조망(일부 대형 세대.. 2025. 11. 7. 부산 동구 좌천동 일동 미라주 더오션 입지분석 — 바다 옆 도심 주거의 재해석 “도시의 기억이 바다를 향해 열린다” 1. 바다와 도시 사이, 좌천동이 품은 시간 부산의 바다 풍경이 삶의 배경이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그 바다는 단순한 ‘보여주는 뷰(view)’가 아니라, 도시의 삶이 머무는 방향이고, 사람들의 일상이 흐르는 맥이었다.좌천동은 바로 그 바다와 도시가 맞닿는 가장자리였다.그 가운데 일동미라주 더오션은, 바다를 품은 아파트라는 상징으로 등장했다.2021년 두 지구로 나뉘어 준공된 이 신축급 단지는,“바다 + 도심”이라는 복합적 가치를 입지로 가져왔다. 입지는 단지의 물리적 위치를 넘어 시간이 켜켜이 쌓인 기억의 축이기도 하다.도시는 다시 쓰여지고, 이 단지는 그 흐름의 한가운데 서 있다. 2 .입지 분석 — 바다 조망, 교통 접근, 도시재생의 교차점 ①조망과 자연.. 2025. 11. 4. 이전 1 다음